집에 계신 예수님(막 2:1)

“며칠 후에 예수께서 가버나움에 돌아가사 집에 계시다 함을 들으시니라”(막 2:1)

예수께서 가버나움에 “다시” 들어가셨다는 말은 예수께서 가버나움을 더 자주 방문하셨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 같습니다.

예수님이 사셨던 집이 시몬과 안드레의 집인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막 1:29). 그럴 수도 있지만 우리가 모르는 누군가의 집일 수도 있습니다.

복음서는 그러한 익명의 인물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예수님이 예루살렘에 입성하실 때 당나귀를 제공한 주인도 그들 중 한 사람이었습니다.

복음서 기자들은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사실에 대한 믿음의 고백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모든 사람에 대한 정보를 누설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여하튼 예수님께서 유대로 가실 때에 베다니에 있는 나사로와 마리아와 마르다의 집에 유하셨던 것처럼 갈릴리 지방 가버나움에 있는 어떤 사람의 집에 유하시고 계셨음이 분명합니다.

예수님이 “집에 계시다”는 마가의 말은 무의미해 보일 수 있지만 조금만 생각해보면 매우 중요한 신학적 의미를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이 표현은 그가 우리와 같이 이 세상을 그의 거처로 삼으셨다는 뜻입니다.

예수님은 공중을 날거나 축 방식을 사용하는 신참이 아니라 우리처럼 시공간의 안식처가 필요한 분이셨다.

이것은 예수님의 인성에 대한 증거입니다.

예수님은 우리와 같은 집에서 사셔야 할 뿐만 아니라 먹고 마셔야 했습니다.

변기에 앉아 계신 예수님을 생각하는 것이 불경스럽게 들릴지 모르지만, 예수님의 인성을 깊이 생각하지 않으면 예수님을 오해하게 됩니다.

예수가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강조하는 것은 인간성을 무시하거나 폄하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태도는 아니다.

초기 기독교의 역사를 통틀어 예수의 인성을 부인하고 그의 신성만을 극대화하려는 시도가 있었습니다.

영지주의는 그러한 시도 중 하나입니다.

그들은 성육신한 예수가 실체가 아니라 그림자라고 주장했습니다.

이것을 환각증이라고 합니다.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는 것은 우리를 이 논리로 몰아넣습니다.

그들은 교부들에 의해 이단자로 정죄되었습니다.

물론 반대 이단도 등장했다.

이것을 프리바이오틱스라고 합니다.

그들은 예수님의 인성을 강조했을 뿐 결국 신성을 모두 포기했습니다.

기독교 신앙의 중심인 기독론의 물음, 예수 그리스도가 누구신가 하는 물음에서 인성과 신성의 물음은 고대 교회에서 그치지 않고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히 한국교회는 영지주의가 매우 강력하여 예수의 인성을 거의 무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다음과 같은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예수님은 공생애에서 인성을 가지셨지만 부활하신 후에는 완전히 다른 존재가 되셨기 때문에 인성에 대한 논쟁은 타당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올바른 관점입니다.

예수님은 이제 변화된 몸이 되셨습니다.

그것은 삶의 실재로서 마지막 때에 우리에게 스스로를 드러낼 부활 실재가 되었습니다.

우리가 부활을 통해 변화된 예수를 믿는다고 해서 공적 삶에서 그의 인간의 삶이 부인될 수 없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공생활과 부활 사이에는 질적인 변화가 있으면서도 연속성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이는 부활하신 주님도 우리와 같은 공동체의 삶 없이는 말씀하실 수 없다는 뜻입니다.

그런 점에서 지금 우리의 구체적인 삶은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의 식생활에서 예수님의 부활은 신비롭게 우리와 함께 합니다.

그러한 깊은 믿음을 이해하고, 그렇게 살아가는 태도가 기독교의 영성입니다.

주님, 지금 여기에서 당신과 함께 구체적인 삶을 살고 싶습니다.